김해김씨 유래

삼현파(三賢派) 유래(由來)

 

김해김씨(金海金氏) 삼현파(三賢派) 시조(始祖)는 가락(駕洛) 태조대왕(太祖大王) 휘(諱) 수로(首露)요, 신라(新羅) 태대각간(太大角干) 흥무왕(興武王) 휘(諱) 유신(庾信)의 후예(後裔)로서 중조(中祖)는 여말(麗末) 판도판서(版圖判書) 국자사(國子師) 문정공(文貞公) 관(管)이시다.

 

삼현(三賢)은 증 사헌부집의(贈司憲府執義) 절효(節孝) 극일(克一), 증 도승지(贈都承旨) 탁영(濯纓) 일손(馹孫), 증 홍문관응교(贈弘文館應敎) 삼족당(三足堂) 대유(大有), 3선생(三先生)을 말한다.

3선생(三先生)은 조손(祖孫) 숙질(叔姪)이시다. 3선생(三先生)을 삼현(三賢)이라 칭(稱)하게 된 것은 연산주(燕山主) 무오사화(戊午史禍)로 비참(悲慘)하게 참형(斬刑)을 당(當)하신 탁영선생(濯纓先生)이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세원복작(洗寃復爵)되고 그 후 현종조(顯宗朝)에 자계서원(紫溪書院)을 사액(賜額)하심과 동시(同時) 3선생(三先生)에게 증직(贈職)을 내리시고 국왕(國王)이 승지(承旨) 신(臣) 홍처량(洪處亮)을 보내어 삼현(三賢)에 치제(致祭)케 하고 일가(一家)에 삼대명현(三代名賢)이 상계이출(相繼以出)함은 비범(非凡)한 일이므로 3선생(三先生)의 충효절의(忠孝節義)와 그 유덕(遺德)을 영세추모(永世追慕)하기 위(爲)하여 김해김씨(金海金氏) 삼현(三賢)이라 하시니 그 후부터 3선생(三先生)의 자손(子孫)을 삼현파(三賢派)라고 부르게 되었다.

 

절효선생(節孝先生)의 제5子이신 녹사공(錄事公)은 탁영(濯纓) 선생(先生)의 숙부(叔父)이시며 삼족당(三足堂) 선생(先生)의 종조부(從祖父)이시다. 삼현파(三賢派) 녹사공(錄事公) 동족(同族)을 총망라(總網羅)하여 세보체제(世譜體制)를 구성(構成)하고 돈목(敦睦)을 도모(圖謀)함.

각파(各派) 각보(各譜)의 기재(旣載)된 계통(系統)을 종합기록(綜合記錄)하되 혹(或) 사실부동(事實不同)한 곳은 숙고(熟考) 정정(訂正)하여 계통(系統)을 명확(明確)히 함. 시조왕(始祖王) 사적(事蹟)을 위시(爲始)하여 역대선조(歷代先祖)의 세덕(世德) 및 명문(名文)을 한글로 현토(懸吐) 및 해석(解釋)하여 봉독효해(奉讀曉解)에 용이(容易)를 기(期)함. 선원세계(璿源世系)를 명기(明記)하여 1900여년의 전통(傳統)과 자가(自家)의 소유래(所由來)를 일목요연(一目瞭然)케 함.

 

중조(中祖)의 휘(諱)는 관(管)字로 위일세(爲一世) 기수(起首)하고 일기처(一起處)를 6단으로 하되 매장(每張) 인봉(印封) 16행(行) 횡간(橫間)하여 상하소목(上下昭穆)과 원근계촌(遠近計寸)들 고람(考覽)에 편의(便宜)를 취(取)함.

동조(同祖) 일손(一孫)의 대의명분(大義名分)아래 적서관계(嫡庶關係)등의 불평(不平)을 일소(一掃)하고 본계(本系) 순차(順次)를 연령순(年齡順)으로 일정(一定)하여 백대(百代)의 중의(重義)를 공고(鞏固)히 함.수유(雖有) 구보(舊譜)나 금번(今番) 누단(漏單) 문중(門中)은 각 분파명하(分派名下)에만 미단(未單)으로 표시(表示)함.一, 연호(年號)에 단기(檀紀) 서기(西紀) 간지(干支)등에 불균(不均)함은 각가단자(各家單子)의 수록(修錄)을 기준(基準)하였고 배치(背馳)되는 사항(事項)은 생략(省略)하여 막중(莫重)한 수보사(修譜事)에 엄격(嚴格)함을 기(期)함.

 

범아가락지김(凡我駕洛之金)은 개십세십일왕지(皆十世十一王之) 유예칙기어(遺裔則其於) 선조(先祖)의 추원구본(推源究本)하여 이신존조지대의(以伸尊祖之大義)니 차삼왕릉도(且三王陵圖) 및 각 서원(書院), 각 사재묘도(祠齋墓圖) 등을 이비(以備) 후손지관징(後孫之觀徵)토록 함.

금번(今番) 삼현파(三賢派) 녹사공(錄事公) 세보(世譜)는 오미증유(吾未曾有)의 대단합사(大團合事)인지라 동보(同譜) 보족(譜族)은 위선(衛先) 및 보종제사(保宗諸事)에 배가면욱(倍加勉勗)하여 상불추(上不墜) 천구백여년(千九百餘年) 사혁지전통(赦赫之傳統)하고 하부실(下不失) 천만세(千萬歲) 무궁지영화(無窮之榮華)를 간망(懇望)함. 기타(其他) 제반(諸般)은 구보(舊譜) 예(例)를 일준(一遵)하였으나 공유불합지단(恐有不合之端)하니 서람언(恕覽焉).